본문 바로가기

인터뷰 기법

[인터뷰를 디자인하라] 상황을 구체적으로 묻기_총론이 아닌 각론으로 질문하기 흔히 인터뷰 자리에서 질문할 때 몇 가지를 몰아서 정신 없이 묻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특별한 상황이 아닌 이상 하나씩 묻되 구체적으로 묻는 것이 좋다. 어느 곳에서 사건 하나가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그 사건의 피해자가 병원 응급실로 이송됐다. 현장에 출동한 기자가 의사나 간호사 등 현장의 의료진에게 “환자(피해자)의 상태는 어떤가요? 괜찮습니까?”하고 묻는다. 그러면 십중팔구는 “네. 괜찮습니다” 혹은 “자세한 결과는 나중에 나올 것입니다”하고 발뺌 해버린다. 사실 이런 답변이 가장 무난하고 쉬운 답변이기는 하다. 하지만 질문방법을 바꿔서 이렇게 물어보자. “어젯밤 사고 당한 환자의 상처는 어떤가요? 폭행으로 인한 상처입니까? 날카로운 물건에 찔린 상처입니까?”, “어제 폭행당해서 온 환자는 깨어났습니.. 더보기
[인터뷰를 디자인하라] 후속질문만 잘 이어가도 깊이 있는 인터뷰가 된다 앞서 했던 질문들이 다소 미흡하거나, 부정확할 시, 혹은 모호하거나 확실히 차별화된 소재가 없을 경우에 해당하는 마지막 단계다. 상대로부터 필요한 대답을 조금이라도 더 듣기 위한 제스처(추임새)도 해당한다. 상대로부터 답변을 듣자 마자 “아~ 그래서요?” 혹은 “그래서 그 뒤에는 어떻게 됐나요?”, “만약 그와 반대되는 경우라면 상황은 어떻게 변했을까요?”처럼 재차 답변에 이어 질문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상대는 이어서 더 깊이 있는 답변을 하게 되고, 인터뷰어는 조금 더 정확하고, 개연성을 갖춘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이 질문을 ‘보충질문’ 혹은 ‘탐구형 질문’이라고도 한다. 굳이 구분하자면, “그게 무슨 말씀이죠?”, “더 자세히 말씀해 주세요”, “그 말을 믿긴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처럼 적극적으.. 더보기
[인터뷰를 디자인하라] 뻔한 답을 낳지 않는 질문법 인터뷰 질문을 어떻게 구성하느냐 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어리석은 질문을 줄이는 것도 그 못지 않게 중요하다. 당장 예전에 내가 구성한 질문지를 살펴보자. 어떤가? 만족하는가? 브래들리대학의 알렌 후프컷 교수(직무면접을 20년 가까이 연구한 전문가)가 공개한 질문 리스트를 보자. 이 질문을 보면 전체 리스트에서 후프컷 교수가 합격점을 준 질문은 단 하나뿐이었다. 어떤 질문이었을까. 1. 우리 회사가 왜 당신을 채용해야 합니까? 2. 지금부터 5년 뒤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3. 당신의 가장 큰 ‘강점’과 ‘약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4. 당신을 어떤 사람이라고 표현하겠습니까? 5. 대학 때 ‘가장 좋아한 과목’과 ‘싫어한 과목’은 무엇이었습니까? 6. 우리 회사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습니까?.. 더보기